나의 태도는 이율배반적일지도 모른다. 과도한 의료비용의 증가를 우려하면서도 고비용의 표적치료제를 보험으로 환자에게 쓸 수 있기를 바라는 것. 제한된 돈과 자원문제라고 한다면 우리의 비용지출구조를 다시 점검해 볼 필요는 없는 것일까? 꼭 모든 암환자에게 5% 본인부담금 제도를 유지해야 하는 것일까? 전이될 가능성이 매우 매우 낮은, 각종 암의 0기 환자들도 다 5%만 낸다. 그래서 건강검진차원에서 PET-CT를 찍고, 머리가 아프면 MRI를 찍는다. 몇만원 안드니까. 진료실에 있다보면 환자들의 도덕적 해이 (Moral hazard) 를 자주 경험한다. 또 다른 재원 조달 구조는 없는 것일까? 예를 들면 HER2 양성 유방암은 그 자체가 공격적인 성격이 강해 빨리 재발하고 HER2 경로를 차단하는 표적치료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