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치료 한방에 열이 나서 입원하게 되었다며 속상해하시는 당신께
1. 열이 나는 이유
항암제가 들어가면
암세포 뿐만 아니라 정상 세포도 영향을 받습니다.
피 성분을 이루는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도 같이 영향을 받아
정상 값에서 수치가 떨어집니다.
피 성분 중에
백혈구 (백혈구 중에서도 염증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중성구)는 우리 몸에 염증을 일으킬만한 원인을 잡아먹어 버림으로써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하는데
그런 과정에서 열이 날 수 있습니다.
즉 열이 난다는 것은 우리 몸 어딘가에 염증을 일으킬만한 요인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셈입니다.
항암치료 기간 중에 항암제가 투여되기 시작한 날로부터 10일-14일째 (의사들은 이를 D+10일 - D+14일 이라고 부릅니다) 백혈구가 가장 많이 감소하는데 이때 열이 나면 문제를 일으킨 놈들과 싸울 백혈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염증이 급속도로 나빠질 가능성이 있게 됩니다.
특별한 염증소견도 없고 컨디션도 나쁘지 않은데 열이 날 수도 있습니다.
백혈구가 없다는 그 자체로 열이 나기도 합니다.
2. 열이 나면
열은 나지만 컨디션이 좋으면,
일단 타이레놀을 한번 먹어보고 더 열이 안나면 병원에 안 오셔도 됩니다.
열도 나고, 컨디션도 않좋으면 바로 병원에 오세요. 응급실에 오시면 환자들 고생하는 거 알지만 그래도 오세요. 꼭.
열이 나기는 하는데, 컨디션은 그만그만해서 병원가기는 싫고
그렇게 2-3일 집에서 뭉기적거리다 병원에 뒤늦게 오시면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지 마시고, 귀찮더라도 꼭 외래로 오세요.
피검사 해서 필요하면 백혈구 촉제를 맞고 항생제를 먹는게 필요합니다. 외래가 없는 때면 응급실이라도 오셔야 합니다. 몇일만 잘 조치하면 아무 문제없이 넘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때를 놓치면 중환자실을 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3. 열이 나지 않게 하려면....
감염의 원인이 될만한 요인을 미연에 방지해야 합니다.
평소 우리 몸에서 가장 균이 많은 곳이 입안과 손입니다.
입안 가글을 하루에 4-6회 정도 열심히 해서 구강청결을 유지하면 폐렴 발생율은 낮춥니다.
또 밖에 나갔다 오면 손발을 잘 씼으시구요. 손발톱을 조금만 잘못 짤라도 염증이 생겨서 쉽게 낮지 않습니다. 평소 잇몸 질환이 있으신 분들은 수치가 회복될 무렵에 치과에 가서 스켈링을 미리 하는 것도 구내염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평소 치아건강에 자신이 없는 분들은 항암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치과진료를 미리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음식을 잘못 먹으면 배탈이 잘 나니까, 수치가 낮은 기간에는 꼭 불에 익힌 음식만 드시구요.
항암제 종류에 따라서 치료 중 열이 날 확률이 다릅니다. 치료 중 열이 나면 다음 치료 때 예방적 조치를 더 강화해야겠죠.
열이 나서 한번씩 응급실을 왔다가신 어떤 환자분들은 치료의 의지가 꺾이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항암제별로 그런 일이 생길 확률이라는게 이미 통계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셈이니
너무 속상해하지 마세요.
그리고 힘내세요!
'Season 1 - Doctor's life until Feb 2014 > 유방암 환자들에게 보내는 편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암 치료 중 대상포진이? (3) | 2011.04.11 |
---|---|
B형 간염 보균자는 항암치료 기간 중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해야 (3) | 2011.04.11 |
환자 진료 후 손씻기 (1) | 2011.04.01 |
작아지는 나 (0) | 2011.03.26 |
비싼 유전자 검사는 꼭 해야 하나요? (2) | 2011.03.21 |